3일동안 안보기
유튜브 꿀팁


일반 유튜브 저작권 경고, ‘3회 누적’ 시 채널 삭제된다? Content ID와 차이 완벽 정리

페이지 정보

본문

ada162f451b5583fa941f55732f7a8eb_1753357924_8103.png
 

유튜브에서 저작권 신고가 왔는데, 제 채널 삭제되는 건가요?”

“다른 채널을 보면 그냥 막 가져다 쓰던데, 그 정도는 괜찮은 걸까요?

“음악은 저작권 문제 당연히 있겠지만, 그럼 영화 리뷰는요?”

“3초만 갖다쓰면 괜찮다고 하던데요?”


평소 많은 분들이 저작권에 대해 궁금증을 가지고 계신 것 같습니다. 이처럼 저작권이 중요하다는 점은 초보 유튜버 분들도 잘 알고 있지만, 정작 유튜브에서 저작권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는 모르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대부분의 저작권 관련 영상을 보면 대부분 ‘남의 것을 쓰지마라’, ‘원작자의 허락을 받아라’라고만 말해 답답하시는 분들이 많으신데요, 제가 오늘 여러분들이 궁금해 하시는 내용을 이해하기 쉽게 정리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유튜브 저작권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이해하는 것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을 것 같은데요, Content ID부터 알아보겠습니다.



1. 유튜브 저작권의 핵심, Content ID


ada162f451b5583fa941f55732f7a8eb_1753357508_7015.png


일단 이게 제일 중요합니다. Content ID라는 것은 콘텐츠의 지문과 같은 것입니다. 혹시 여러분, 카페에서 어떤 노래가 흘러나와서 궁금해서 네이버 앱을 열고 음악 검색으로 노래를 찾아보신 적 있으신가요? 그 시끄러운 카페에서 나오는 음악도 정확하게 다 찾아줍니다. 미리 네이버에서 그 노래를 어떤 방법으로 분석해 놓은 것이겠죠.

 

유튜브도 마찬가지입니다. 음악뿐만 아니라 영상도 전부 유튜브에 미리 등록해 놓으면 지문처럼 남아서, 다른 사람이 올린 콘텐츠와 비교해보고 일치하는지 찾을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해, 유튜브의 저작권 판별 기술입니다. Content ID의 주요 역할은 내 저작물을 이용해 다른 사람이 콘텐츠를 만들어 유튜브에 올리는 것을 관리하는 것입니다.


이때, 콘텐츠 아이디에 저작물을 등록하는 사람을 CMS 권한을 가진 사람이라고 하는데, 이는 음악, 영화, 드라마 같은 저작물을 관리하는 회사들을 말합니다. 이들이 저작물을 미리, 혹은 나중에 Content ID로 등록하게 됩니다. 왜냐하면 너무 인기 있는 콘텐츠이기 때문입니다. 가만히 내버려두면 너도 나도 업로드하겠지요.

 

그런데 여기서 문제가 발생합니다. 구독자가 한 20명 정도이고, 조회수가 3~4 정도 나오는 채널은 우리 눈에 잘 보이지 않지요. 유튜브에서 저작권을 침해당하면, 가장 기본은 내가 직접 신고를 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렇게 작은 채널까지 일일이 찾을 수는 없잖아요. 그렇기 때문에 유튜브에 미리 이 저작물을 시스템적으로로 등록하는 것이 바로 Content ID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저작권 침해 신고와 저작권 경고의 차이


ada162f451b5583fa941f55732f7a8eb_1753357508_6604.png


아까 유튜브에서 저작권 문제의 가장 기본은 저작권자가 직접 신고하는 일이라고 말씀드렸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침해 신고, 즉 소유권 주장과 저작권 경고는 다릅니다. 그럼 어떤 부분이 다른지 살펴보겠습니다.


예전에는 ‘저작권 침해 신고’라는 단어를 썼습니다. 그래서 유튜브 커뮤니티에 "저작권 신고 먹었어요. 제 채널 삭제돼야 하는 거 아닌가요?" 하는 질문들이 많이 올라왔었죠. 그런데 이제는 Content ID 소유권 주장이라는 표현으로 바뀌었고, 문구도 이렇게 쓰여있습니다. "채널에 영향을 주지 않는 동영상에 대한 콘텐츠 아이디의 소유권 주장이 채널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Content ID 소유권 주장이 떴다는 것은, 미리 저작물을 등록해 놓은 필터에 걸렸다는 뜻입니다. 이렇게 이해하시는 것이 제일 편합니다. 대부분 남의 음악을 가져다 쓰면 제일 흔하게 발생합니다. 왜냐하면 음원은 Content ID가 영상보다 빠르게 판별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우리가 남의 음원을 쓰면 유튜브에서 걸린다, 이 정도는 대부분 알고 계십니다.


그렇다면 저작권 경고는 무엇일까요? 일단 소유권 주장처럼 저작권 탭에서 조그맣게 표시되지 않습니다. 아주 큼직하게, 유튜브 스튜디오에 떡 하니 걸립니다. 저작권 경고의 가장 큰 차이는, 원 저작자가 긴 항목을 일일이 작성하여 유튜브에 직접 신고했다는 점입니다. 혹은 내 채널의 저작권 탭에서 판별된 사항을 바탕으로 할 수도 있습니다. 한마디로, 원 저작자가 직접 신고한 것입니다.


그래서 패널티가 다릅니다. 3개의 경고가 누적되면 채널이 삭제됩니다. "채널이 삭제되면 다시 만들면 되지" 하시는 분들이 계신데, 안 됩니다. 본인 이름으로 다시는 만들 수 없습니다. 우리가 썸네일 지정하려면 번호 인증을 해야 하는데, 그 단계에서 탈락되는 것이죠. 


"전화번호 인증을 위해서 번호를 새로 구입해서 쓰면 되지" 이렇게 하시는 분도 계신데, 3차 인증이라는 것이 또 있습니다. 이 3단계 고급 기능은 얼굴 인증입니다. 마지막으로, 저작권 경고로 채널이 삭제되면 그 계정으로 연동된 다른 채널도 삭제됩니다.




3. 저작권 걱정 없이 유튜브 만드는 법


ada162f451b5583fa941f55732f7a8eb_1753357508_601.jpg


일단 콘텐츠 아이디로 가장 많이 등록되는 저작물이 바로 음악, 영화, 드라마입니다. 이것들을 가져와서 유튜브로 만드는 콘텐츠는 웬만해서는 하지 않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런데 꼭 해야 한다면 방법은 있습니다. 음악은 되도록 쇼츠에서만 사용하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쇼츠에서 사운드 추가로 선택한 음원은 유튜브가 사용료를 대신 내기 때문에 소유권 주장 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웬만한 대중음악은 거의 다 있으니까, 여기서 사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꼭 롱폼에도 쓰고 싶으시다면, 조금만 더 기다려보시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원하는 곡의 음원을 미리 구입해서, 저작권 문제 없이 콘텐츠 하나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인 크리에이터 뮤직이 우리나라에서도 출시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현재는 미국에서만 시범적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영화나 드라마의 경우에는, 공개된 예고편만 제한적으로 사용하시되, 먼저 영화사나 제작사의 공식 이메일로 콘텐츠의 목적, 예고편 사용 범위 등을 명시하여 허락을 받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이게 번거로울 것 같지만, 의외로 가장 깔끔한 방법입니다. 예고편의 경우, 제작사 측에서는 최대한 많이 퍼져서 홍보 효과를 얻는 것을 선호하기 때문입니다. 다만 비난을 목적으로 제작한다면 허락해 주지 않겠지만요.






마무리


Content ID는 유튜브의 저작권 분석 도구입니다. Content ID의 소유권 주장은 단순히 미리 원작자가 정해놓은 설정이기 때문에, 내 채널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가끔 내가 만든 음악이 아님에도, 저작권 개념을 잘못 이해하고 항소하시는 분도 계신데요. 이렇게 했다가, 원래는 소유권 주장으로 끝날 문제가 저작권 경고 위반으로 돌아올 수 있으니 주의하셔야 합니다. 내가 만든 것이 아니라면, 그게 Content ID에서 표시된 음악과 조금 다르더라도 가급적 항소하지 않으시는 것이 안전합니다.


마지막으로, 유튜브에서 본인이 만든 음악이라고 출처 표시만 하면 써도 된다고 하는 채널들이 있습니다. 저는 이곳에서 음악을 가져다 쓰는 것을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Content ID 등록은 나중에도 할 수 있다는 점을 악용해서, 음원을 먼저 무료로 뿌린 다음 1~2년 뒤에 콘텐츠 아이디를 등록하여 광고 수익을 가로채는 일들이 많습니다. 따라서, 되도록이면 유튜브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라이브러리 음원을 사용하시거나, 좀 더 좋은 품질이 필요하다면 유료 음원 사이트를 이용하시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더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댓글 남겨주시고 모두가 저작권 문제없이 올바른 방법으로 수익화를 성공하시기를 응원합니다.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추천1 비추천0

댓글목록

profile_image

회원 로그인

SNS

이달의 포인트 랭킹

1 스버억 465점
2 고버스TV 303점
3 yoon1869 240점
4 투썸플레이스 240점
5 스팍 191점
6 traffic777 180점
7 인스타계정무한판매 170점
8 아라미 115점
9 나디아 105점
10 세이빈 100점